본문 바로가기

특별한주제/영상과 서적

오쿠다 히데오의 공중그네, 덴키그루브와 만나다!

오쿠다 히데오(奥田英朗)의 공중그네 시리즈. 오쿠다 히데오는 1959년에 태어난 일본 소설가로써, 1997년 우란바나의 숲(ウランバーナの森, 번역명:팝스타 존의 수상한 휴가)으로 데뷔하였습니다.

팝스타 존의 수상한 휴가 - 10점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북스토리

국내에는 작년 5월에 번역된 책입니다. 하지만 오쿠다 히데오는 이것보다는 정신과 의사 이리부 시리즈로 더 인기가 많습니다.

정신과 의사 이라부 시리즈

인 더 풀, 공중그네, 면장 선거로 이어지는 새 시리즈는 골 때리는 정신과 의사 이라부와 육체파 간호사 마유미가 있는 정신과 병원에 골 때리는 강박관념에 빠진 환자들이 찾아오며 이야기가 전개 됩니다. 국내에서는 공중그네, 인 더 풀, 면장 선거 순으로 소개되었고, 인 더 풀이 제127회 나오키상 후보로, 공중그네가 제131회 나오키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이 시리즈는 강박 관념이 빠진 환자들을 치료해가면서 그들을 대하는 이라부의 행동이 정말 재미있습니다.

이 시리즈는 여러 방법으로 미디어로 등장했습니다. 인 더 풀에서 “인 더 풀” “발기된 채” “가만히 있지 못 하고”가 인 더 풀로써 영화화되고, 공중그네가 TV 드라마와 연극으로 등장했습니다.

그런 정신과 의사 이라부 시리즈가 TV 애니메이션으로 등장했습니다.

TV 애니메이션 공중그네


©空中ブランコ製作委員会

TV 애니메이션 공중그네는 공중그네 제작위원회(空中ブランコ製作委員会)가 제작을 맡고, 후지 TV의 노이타미나 코너에서 방영합니다.


©空中ブランコ製作委員会

이 공중그네 애니메이션은 오쿠다 히데오의 이라부 시리즈를 집대성하여 10화에 걸쳐 방영됩니다. 현재 6화까지 방영되었으니, 반쯤 지나간 셈입니다.

공중그네 애니메이션은 원작에서 “인 더 풀”에서 “발기된 채(제2화)”, “장인 어른의 그것(제5화, 원제:장인 어른의 가발)”, “프렌즈(제6화)”, “가만히 있지 못 하고(제8화)”, “공중그네”에서 “공중그네(제1화)”, “연애소설가(제3화. 원제:여류작가)”, “핫 코너(제4화)”, “고슴도치(제7화)”, “면장선거”에서 “천재 아역(제9화, 원제:카리스마 돈벌이)”, “오너(제10화)”를 발췌하여 통일된 분위기로 구성하였습니다.


©空中ブランコ製作委員会

형광색의 독특한 배색과 실사를 섞은 합성이 이 애니메이션의 특징입니다. 특히 노출광 간호사 역할로 스기모토 유미가 등장하고, 일본의 유명한 정신과 의사 후쿠이 켄지도 해설역으로 등장합니다.

이리부 이치로는 원작의 비만형 남성이 아니라 골 때리는 세 가지 모습으로 등장합니다. 곰 인형을 뒤집어 쓴 비만형 모습, 곰 귀를 쓴 젊은 청년, 소년의 세 가지 모습으로 등장하여 환자를 대합니다. 이와 같은 것에 걸맞게 각 환자들은 동물로 심볼화되어 등장합니다.

오쿠다 히데오의 공중그네 덴키그루브와 만나다



©空中ブランコ製作委員会

또한 일본의 테크노 밴드로 유명한 덴키 그루브가 20주년을 맞이하여 신곡과 유명 히트곡의 어레인지 버전이 오프닝 엔딩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電気グルーヴ / ソニー・ミュージックディストリビューション

덴키그루브(電気グルーヴ) / Upside Down

Track.01 Upside Down
Track.02 Shangri-La(Y.Sunahara 2009 Remodel)     
Track.03 やりすぎコージーOP
Track.04 Upside Down -TV Version-

오프닝은 20주년을 맞은 신곡인 “Upside Down”, 엔딩은 그들의 유명곡인 “Shangri-La”의 어레인지 버전인 “Shangri-La (Y.Sunahara 2009 Remodel)”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BGM으로 덴키그루브의 곡이 가득합니다.


©空中ブランコ製作委員会

또한 음악은 3인조 락 밴드 피카소의 키보드를 담당했던 모리 히데하루(森英治)입니다. 해산 후에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의 음악을 맡았습니다.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한 것은 메존일각 완결편, 란마 1/2, YAWARA!, xxxHoLiC 등이 있습니다. 편곡가로써도 활동 중입니다.

이처럼 화면 뿐 아니라 음악에서도 무척 신경 쓴 것을 알 수 있는 작품입니다.

덴키그루브 / Upside Down

마지막으로 덴키그루브가 참여한 공중그네 TV 애니메이션의 오프닝을 소개합니다.

이어지는 엔딩 테마는 덴키그루부의 히트곡 Shangri-La의 최신 버전입니다. 각 화마다 다른 화면입니다.

오프닝, 엔딩만으로는 감질 맛 난다는 분들을 위한 뮤직 비디오도 있습니다!

젊은 처자들이 나와서 테크노를 흔들흔들. 우와 이거 아주 좋습니다. 일본의 젊은, 아니 어린 처자들 가득. 이것이 덴키그루브의 힘인가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