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네트워크/모바일

KT WIBRO 서비스 사용 소감 (실외 및 고층 실내, 주택가)

Wibro 서비스 사용 소감 (고층 실내)을 보고 저랑 느낌이 다른 듯 하여 사용 소감을 써보고자 합니다.
처음 와이브로를 쓰기 시작할 때 사용했던 모뎀은 KWM-U1000이었습니다. 크기가 작고 뭐고 떠나서 그냥 선택의 여지가 없었죠. DMB 내장 형태도 있었지만 크기가 커서 이것을 통해서 이용했었습니다.
그 다음에 사용했던 모델은 SWT-H200K입니다. 별도 프로그램 없이 모뎀에 내장된 프로그램이 자동설치 되고, T-Flash (MicroSD) 리더기도 겸할 수 있어서 썼었던 모델입니다.
그러면서 베가를 에버런으로 변경하면서 와이브로 내장 모뎀 타입으로 바꾸었죠. 별다르게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고, 주렁주렁 본체 옆에 달지 않아도 되니까 좋습니다.

1. 실내 접속 불량, 특히 고층
원래 고층에서 잘 안됩니다. 다만, 어지간한 건물엔 와이브로가 건물 내에도 설치되어 있더군요. 핸드폰도 고층에서는 잘 안잡히므로 고층에 송수신기를 설치하곤 하는데 와이브로도 그렇게 되어 있는 편입니다. 만약 건물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와이브로 센터에 전화해서 갈궈보세요. 와서 설치하고 가거나, 셋팅 봐주고 갑니다. 센터 전화번호는 080이므로 무료! 080-000-1472 우왕ㅋ굳ㅋ

HSDPA를 쓰는 T-Login 또는 iPlug는 당연히 잘 되죠. 핸드폰 터지는 곳에선 100% (정확히는 3G 폰이 터지는 곳입니다만) 되니까요. 지방에 놀러갈 때는 핸드폰에 iPlug 요금을 몇일 올려놓고 쓰거나 합니다.

2. Idling 오류: 재부팅 혹은 모뎀 제거후 재설치 필요
저는 지금까지 이 모든 모뎀을 쓰면서 이런 문제가 없었는데 어떤 제품을 쓰나요? 아이들링에서의 문제보다는 접속 불가 지역과 접속 가능 지역을 이동하면서 잡지 못 하는 경우가 가끔 있어서 모뎀을 뽑고 꼽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거와는 다른 경우군요.

3. 이동 중 차량: 접속 불안정
100km/h는 물론 140km/h에서도 문제 없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Wibro 스펙상은 시속 80km/h 이하에서 안정적인 속도 제공이 맞긴 합니다.

4. 사용 편의성 - 드라이버 및 최초 사용 설치 방법, 인터페이스 등
제가 처음 쓰던 모뎀은 이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두번째 사용하던 SWT-H200K는 그 기능을 잘 썼습니다. 역시 모뎀이 문제군요. 그리고 드라이버를 여럿 설치하는 건 UICC 카드 덕이 크죠. 와이브로 모뎀의 경우 네트워크 어댑터로 와이브로 모뎀이 설치되고 UICC 인증을 위해서 스마트 카드 리더기를 설치하다 보니 이런 문제가 있는 거 같은데 이게 문제라 봐야할진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외장형의 한계이기도 한데 Wi-Fi 모뎀도 USB 타입의 외장형은 꼽고 인증하는데 시간 걸리던데 비슷합니다. HSDPA도 전화 걸고 접속하고 뭐 하면 비슷하게 걸리던데요.^^

5. 설마.. 다운로드 전용 사이트 사용 제한?
안써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일반 웹 다운로드나 RealVNC, 원격 데스크탑 접속 등에서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andyko님은 어떤 모뎀을 쓰셨던 것일까요? 궁금하네요.

그런데 이보다 정말 안되는 곳은 강가입니다. 한강변도 안되고요, 양재천, 중랑천 부근도 안됩니다. 당연히 다리 위에서도 안되고 그것은 일반 도로건, 지하철이건 마찬가지입니다. 짧은 몇십초도 안되는 시간에 지나가기도 하는 구간입니다만, 안터지면 갑갑하죠. 그리고 한강에서 운동하거나 양재천, 중랑천에서 운동할 때도 강가로 다가가다 보면 끊어지고요. 중랑천은 재미있는 게 바로 옆에 있는 동부간선도로에선 아주 잘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간선도로로 다가가면 되곤 하죠. 그런데 이보다 이해 안가는 건 이것입니다.
우선 여기보면 현재 커버리지가 표시되어 있고, 2008년 하반기 예정인 지역이 푸르게 표시되어 있죠. 서울 시내는 모두 커버리지로 보고 있고, 실제 위에서 이야기한 케이스 빼곤 잘 썼습니다. 그런데 언제나 안되는 다리 위도 강변도 아닌 곳인데 안터지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왕십리 지하차로에서 응봉역까지 이어지는 길입니다만, 버스를 타고 지나가다 보면 이 구역에서 안잡힙니다. 100%. KT 와이브로 센터에 전화 걸어서 몇번 이야기했는데 언제 고쳐질지 모르겠습니다. 그 외에 이런 작은 음영지역이 있다고는 하는데 제 생활 반경 안에서는 이 구역만 발견했던 것 같습니다.

앞서 고층 건물 (16층) 에 있는 사무실에서 잘 터진다고 했었는데, 사무실에서도 안터지는 곳 있어요. 화장실인데요. 입구쪽에선 터지고 구석쪽에선 안터저요.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집은 그냥 2층 양옥집입니다만, 어디서든 잘 터집니다. 그래서 집에서도 무선랜이 아니라 와이브로 쓰곤 하죠. 접속 끊고 연결하고 귀찮고 하니까요. 무선랜은 그러다보니 아예 꺼놓고 사는 편입니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