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이야기

이글루스 이야기가 어디에 있죠? 제가 못 찾는건가요?

이글루스는 해외서버, 전 불법 음해론자

저 이거 보고 설마 트래픽이 정말 적은 이글루스를 직접 정두원 의원님이 언급했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그런 이야기 전혀 없었죠.

[2007 국정감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07.10.17)

정두원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블로그를 언급한 내용은 다음입니다.

3. 블로그 감시 철저
현재 가장 많은 사이버선거법위반을 저지르는 것은 각 홈페이지가가 아니라 기하급수적으로 퍼지는 블로그임. 특히 올블로그 처럼 블러그를 링크시키는 메타블로그 싸이트가 가장 큰 문제임.

이는 현재 한나라당 후보의 네거티브 유포의 진원지로 활동하고 있음. 언론도 아닌 것이 블로그의 포털로 기능하면서 싸이버 테러에 가까운 사이버선거법위반을 저지르고 있음. 특히 블로그가 국내 블로그 사이트가 아닌 미국의 등 외국 사이트를 이용 블로그를 개설하여, 신원사항을 감추고 블로그 활동을 하고 있음으로 인해 선관위나 사이버수사대의 수사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교묘히 이용하고 있음.

네이버와 다음 같은 포털의 경우 불공정한 보도나, 게시글은 선관위나 각 캠프의 모니터링으로 공정하게 노출 될 수 있도록 조정되고 있으나 메타블로그의 경우 이러한 조치를 전혀 못하고 있는 실정임.

선관위는 사이버부정선거감시단과 사이버자동검색시스템운영에 있어서 새로운 네거티브 방식인 메타블로그 감시활동에 더욱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임.

글쎄, 여기에서 이글루스에 대한 이야기 한마디라도 있습니까? 여기에서 문제로 삼아야할 발언은 "언론도 아닌 것이..." 아닌가요? 블로거는 언론도 아닌 것이 설치는 게 문제라는 거죠. "특히"라고 이야기하고 있듯 특별한 상황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현실에서 네이버, 다음 등의 블로그는 선관위에 관리하에 있지만 다른 곳은 그런 것에 있지 않고 특히 메타 블로그가 그렇지 않다라는 현실을 이야기하는 것은 틀리지 않았다고 봅니다.

문제는 그게 아니죠. 어디에도 이글루스라고 써있는게 없고, "특히"라는 말로 한정하고 있음에도 블로거가, 이글루스에서 블로그를 쓰고 있는 블로거가 그런 것으로 파파울프님은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문제는 저는 그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언론도 아닌 것이 블로그의 포털로 기능하면서"라는 부분입니다. 이것이 전형적인 기존 언론에 대한 권력 이론이라고 보는데요. 언론은 정해진 자격을 가져야만 언론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게 기존의 패러다임인 것이고 그것을 깨는 게 우리들 블로거 아니겠습니까. 블로그라는 게 자유로운 언론으로써 활동할 수 있는 역할도 갖고 있는데, "언론도 아닌 것"이라니요! 장난하자는 건가요? 언론만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할 수 있고 정보를 제공하 수 있는 건 아니지요. 언론이 심지어는 정확한 역할을 하고 있더라도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펼칠 수 있는 겁니다. 그게 블로그고, 그게 블로고스피어입니다. 기존 언론만 그것을 할 수 있다면 그게 자신만의 권력을 지니고 있는 거겠죠. 그런 건 용납할 수 없습니다.

그에 따라서 정두원 의원에게는 다음을 요구합니다.

"블로거의 언론의로써의 역할을 인정하세요."

언론은 정해진 누군가만 할 수 있는 게 아니고, 기자 자격증 지닌 사람만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패러다임이 너무 낡은 거 아네요?

그리고, 파파울프님에게도 이야기합니다. 정두원 의원이 이야기한 것이 옳다는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은 앞에서 말씀드렸습니다만, 정두원 의원의 이야기를 그렇게 왜곡한다면 이슈를 잘못 퍼뜨리는 것에 불과할 것 같습니다. 이슈화하더라도 명확한 것을 가지고 이슈화 하자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