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cked from 기술에 대한 거부가 아니라면 다음에 대한 거부입니까? in Studioxga.net
Tracked from 다음 RSSnet에 대한 거부는 기술에 대한 거부가 아닙니다 in 달의 끝을 보고 있었다..
여러 이야기가 오고 돌아, 논점은 두 가지로 좁혀지고 있습니다.
첫번째, RSS에 의한 배급은 누구에게나 자유로워야 하며 그것은 누구인가를 차별받지 않아야한다. 두번째, RSS의 이용에 있어 저작권의 침해를 조심해야한다.
첫번째, 두번째에 대해 특별히 이의를 제기하실 분은 없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왜 유독 다음RSS넷에 대해 문제가 되었는가, 첫번째의 원칙에 어긋남에도 불구하고 굳이 다음 RSS넷에 대해서 거부 운동과 비난이 잇따랐습니다. 심지어는 다음RSS넷을 통해 구독하는 이까지 문제시삼을 정도였으니까요.
이에 대해 내세우는 논지는 두번째를 어겼다는 것입니다. 그것으로 주로 처음에 언급하던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블로그를 채널로 격하(?)하고 다음의 하나의 컨텐츠처럼 보이게 했다.
2. 비공개 글임에도 다음RSS넷에서 볼 수 있었다.
3. RSS에서 저작권의 존중을 위해 필요한 요소를 명시하지 않았다.
1. 블로그를 채널로 격하(?)하고 다음의 하나의 컨텐츠처럼 보이게 했다.
이 부분은 디자인적인 호불호이며, 그렇게 보는 쪽과 그렇지 않은 쪽이 있습니다. 이것은 논점의 요지가 되지 못 합니다.
2. 비공개 글임에도 다음RSS넷에서 볼 수 있었다.
비공개 글임에도 다음RSS넷에서 볼 수 있는 문제는, 웹으로 한번 공개된 문서가 어떤 경로이던 Cache 될 수 있음에 따른 것이며, 다음 RSS넷은 그것을 어기지 않았습니다. 어떠한 방법으로도 처음부터 공개되지 않은 포스트는 외부에 노출 될 수 없습니다. 만약 노출되었다면 그 블로그 시스템 자체의 문제이지 다음RSS넷의 문제는 아닙니다. 당연하지만 블로그라인즈도 똑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습니다. 물론, 구글에서도 비밀글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공개가 된 후 다시 비공개로 전환되었다면 말입니다.
3. RSS에서 저작권의 존중을 위해 필요한 요소를 명시하지 않았다.
결국 1,2번 문제는 Clear되고, 3번 문제가 남았습니다.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해서 저작권을 어겼다고 보는 문제가 많습니다. 그래서 여기에서 많은 이슈가 Author와 Category가 명시되지 않은 점. 이것은 역시 블로그라인즈와 비교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로 블로그라인즈와 다음RSS넷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라인즈와 다음RSS넷은 동일하게 channel의 title(블로그의 제목), descripition(블로그의 설명), image(블로그 설명 이미지), link(블로그 고유 주소) 태그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 외 누가 등록을 하고 있는가, 최종 업데이트 일자(pubDate), 등록된 글의 개수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아이러니하지만 1번의 주장의 논지로 쓰였던 "채널"이란 용어는 여기에서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다음부터 보여주고 있는 정보가 다릅니다.
블로그라인즈는 포스트의 제목 (title), 고유 주소 (link)와 내용 (description), 분류 (category), 저자 (author), 등록일 (pubDate)을 쓰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다음RSS넷은 포스트의 제목 (title), 고유 주소 (link)와 내용 (description), 등록일 (pubDate)을 쓰고 있습니다.
즉, 블로그라인즈와 비교하여 저자와 분류를 배제하였기 때문에 저작권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는 견해입니다. 그렇다면, 다음RSS넷은 블로그라인즈와 비교하여 저자와 분류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RSS의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납득할 수 있는 이야기이며, 그에 대해서 충분히 요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요구 이전에 많은 분들은 RSS넷 거부 운동을 벌였습니다.
여기까지 와서 생각해볼 때, 이것은 다음RSS넷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논쟁보다는 "다음"이라는 서비스에 대한 거부감과 혐오감이 이 사태를 낳은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기까지 합니다. "다음"이니까 무시했다, "다음"이니까 상업적 이용을 앞세울 것이다, "다음"이니까 펌질을 주도할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제가 오해하고 있는 것이길 바랍니다.
다음 RSS넷에 충분한 요구를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지나치게 혐오와 거부로 이어지는 것은 RSS의 기본 취지를 어긋나고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여야 하지, 그 범위를 벗어나는 순간 자유롭고 열려있는 블로그의 취지를 어기는 것이 됩니다. 뭐든 지나친 것은 좋지 않다하지 않습니까.
저 역시 다음이란 서비스를 그렇게 좋아하는 편이 되지 못 하며, 근 몇년 동안의 다음의 행보에 불만이 많았습니다. 그럼에도 다음RSS넷을 환영하는 것은,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는데 앞장섰다는 점(이미 블로그 라인즈가 있지만, 그것은 국내 서비스가 아닙니다), 그리고 그에 있어 많은 의견을 수렴하고 서비스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저는 블로그가 갖고 있는 근본 개념인, 자유롭고 열린 공간을 지향합니다.
저는 다음RSS넷을 환영합니다. 그 블로그를 널리 읽힐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의 내용은 DJHAN님의 지적이 있었을 뿐 아니라, 제 생각에도 지나친 감정의 표현이라 생각되어 삭제합니다.
Tracked from 다음 RSSnet에 대한 거부는 기술에 대한 거부가 아닙니다 in 달의 끝을 보고 있었다..
여러 이야기가 오고 돌아, 논점은 두 가지로 좁혀지고 있습니다.
첫번째, RSS에 의한 배급은 누구에게나 자유로워야 하며 그것은 누구인가를 차별받지 않아야한다. 두번째, RSS의 이용에 있어 저작권의 침해를 조심해야한다.
첫번째, 두번째에 대해 특별히 이의를 제기하실 분은 없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왜 유독 다음RSS넷에 대해 문제가 되었는가, 첫번째의 원칙에 어긋남에도 불구하고 굳이 다음 RSS넷에 대해서 거부 운동과 비난이 잇따랐습니다. 심지어는 다음RSS넷을 통해 구독하는 이까지 문제시삼을 정도였으니까요.
이에 대해 내세우는 논지는 두번째를 어겼다는 것입니다. 그것으로 주로 처음에 언급하던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블로그를 채널로 격하(?)하고 다음의 하나의 컨텐츠처럼 보이게 했다.
2. 비공개 글임에도 다음RSS넷에서 볼 수 있었다.
3. RSS에서 저작권의 존중을 위해 필요한 요소를 명시하지 않았다.
1. 블로그를 채널로 격하(?)하고 다음의 하나의 컨텐츠처럼 보이게 했다.
이 부분은 디자인적인 호불호이며, 그렇게 보는 쪽과 그렇지 않은 쪽이 있습니다. 이것은 논점의 요지가 되지 못 합니다.
2. 비공개 글임에도 다음RSS넷에서 볼 수 있었다.
비공개 글임에도 다음RSS넷에서 볼 수 있는 문제는, 웹으로 한번 공개된 문서가 어떤 경로이던 Cache 될 수 있음에 따른 것이며, 다음 RSS넷은 그것을 어기지 않았습니다. 어떠한 방법으로도 처음부터 공개되지 않은 포스트는 외부에 노출 될 수 없습니다. 만약 노출되었다면 그 블로그 시스템 자체의 문제이지 다음RSS넷의 문제는 아닙니다. 당연하지만 블로그라인즈도 똑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습니다. 물론, 구글에서도 비밀글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공개가 된 후 다시 비공개로 전환되었다면 말입니다.
3. RSS에서 저작권의 존중을 위해 필요한 요소를 명시하지 않았다.
결국 1,2번 문제는 Clear되고, 3번 문제가 남았습니다.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해서 저작권을 어겼다고 보는 문제가 많습니다. 그래서 여기에서 많은 이슈가 Author와 Category가 명시되지 않은 점. 이것은 역시 블로그라인즈와 비교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로 블로그라인즈와 다음RSS넷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라인즈와 다음RSS넷은 동일하게 channel의 title(블로그의 제목), descripition(블로그의 설명), image(블로그 설명 이미지), link(블로그 고유 주소) 태그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 외 누가 등록을 하고 있는가, 최종 업데이트 일자(pubDate), 등록된 글의 개수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아이러니하지만 1번의 주장의 논지로 쓰였던 "채널"이란 용어는 여기에서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다음부터 보여주고 있는 정보가 다릅니다.
블로그라인즈는 포스트의 제목 (title), 고유 주소 (link)와 내용 (description), 분류 (category), 저자 (author), 등록일 (pubDate)을 쓰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다음RSS넷은 포스트의 제목 (title), 고유 주소 (link)와 내용 (description), 등록일 (pubDate)을 쓰고 있습니다.
즉, 블로그라인즈와 비교하여 저자와 분류를 배제하였기 때문에 저작권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는 견해입니다. 그렇다면, 다음RSS넷은 블로그라인즈와 비교하여 저자와 분류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RSS의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납득할 수 있는 이야기이며, 그에 대해서 충분히 요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요구 이전에 많은 분들은 RSS넷 거부 운동을 벌였습니다.
다음 RSS넷에 충분한 요구를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지나치게 혐오와 거부로 이어지는 것은 RSS의 기본 취지를 어긋나고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여야 하지, 그 범위를 벗어나는 순간 자유롭고 열려있는 블로그의 취지를 어기는 것이 됩니다. 뭐든 지나친 것은 좋지 않다하지 않습니까.
저 역시 다음이란 서비스를 그렇게 좋아하는 편이 되지 못 하며, 근 몇년 동안의 다음의 행보에 불만이 많았습니다. 그럼에도 다음RSS넷을 환영하는 것은,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는데 앞장섰다는 점(이미 블로그 라인즈가 있지만, 그것은 국내 서비스가 아닙니다), 그리고 그에 있어 많은 의견을 수렴하고 서비스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저는 블로그가 갖고 있는 근본 개념인, 자유롭고 열린 공간을 지향합니다.
저는 다음RSS넷을 환영합니다. 그 블로그를 널리 읽힐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IT네트워크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WYSIWYG, 이 정도는 고쳐주세요. (4) | 2005.11.12 |
---|---|
DCinside를 RSS 리더로 읽자 (0) | 2005.02.12 |
기술에 대한 거부가 아니라면 다음에 대한 거부입니까? (16) | 2005.01.23 |
블로그, RSS, 트랙백, 도구와 목적은 다릅니다. (10) | 2005.01.23 |
당신은 블로그를 쓰십니까, 이글루스를 쓰십니까? (17) | 200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