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이야기

번역, 그것은 창작입니다.

번역은, 또 하나의 창작입니다. in Studioxga.net

저번 포스트에서는 번역은 또 하나의 창작이기 때문에 단순한 기술로써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를 이해한 상황에서 원저자의 의도를 살려야 한다고 말한 바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의도를 번역된 언어로 읽게 되는 사람이 원 문화와 원 저자를 이해하도록 번역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그것이 가능할까? 그것에 대해서 이번 포스트에서 고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 저는 이렇게 말한 바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제대로된 번역은 단 한 사람만이 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언어를 모국어로써 충분히 구사할 수 있고, 두 개의 언어로 하나의 창작물을 쓰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모든 번역은 문제점을 갖고 있고, 미흡한 것입니다. 그런 문제점이 있고 미흡하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번역을 더 잘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습니다. 두 개의 모국어를 가지고, 두 개의 문화를 모두 이해하는 저자가, 저자가 두 개의 언어로 글을 창작할 때 그것이야 말로 완벽한 번역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는 이와 비슷한 상황을 겪은 적이 있습니다.

일과 관련해서 제가 작성한 문서를 일본어로 번역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번역을 의뢰했습니다. 일본어를 할 줄 알지만, 그것은 그것이고, 번역은 적절하게 번역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맡는 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결과물은 참담했습니다. 번역이 아닌 해석으로 돌아온 것입니다. 원문의 줄거리는 저 멀리 사라지고, 남아있는 것은 문장 하나 하나의 해석 뿐이었습니다. 결국 저는 제 원래 업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본어로 다시 썼습니다. 그렇습니다. 번역한 것이 아니라 다시 쓴 것입니다. 그렇게 다시 쓸 때 원문을 보고 한 문장 한 문장 쓴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 원래 어떤 문서를 쓰려고 했는지, 제 의도를 담아서 제 손으로 일본어로 다시 쓴 것이었습니다. 양쪽 모두 제 의도이며, 제가 쓴 것이며, 단지 다른 것은 한 쪽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을 위해, 한 쪽은 일본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을 위해 쓴 것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 쪽에는 한국의 문화가, 한 쪽에는 일본의 문화가 담겨있었겠죠. 그러나, 이것도 완벽한 번역은 아닐 것입니다. 왜냐면 저는 일본어를 모국어로 배우지 않았고, 그 만큼 잘 하지도 못 하고, 일본의 문화를 한국의 문화만큼 잘 이해하고 있지 못 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 제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가 드러납니다. 번역이란, 쉽게 생각하면 하나의 언어로 쓰여진 글을, 다른 언어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그러나,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번역은 하나의 의도가 두 개의 언어로 쓰여지는 것입니다. 위의 과정처럼 원 저자의 의도를 최대한 살려서 두 개의 언어와 문화로 표현이 될 뿐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원 저자가 두 개의 언어로 글을 쓰는 경우는 드뭅니다. 물론 이렇게 쓰시는 작가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원 저자의 글을 다른 언어로 저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번역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이상적인 번역에 가깝게 할 수 있을까? 가장 간단한 방법은 원 저자를 협박하여, 다른 언어를 익히게 하고, 다른 문화를 알게 하는 것입니다. 이게 사실 가장 간단하고, 가장 이상적으로 번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자, 이제 여러 독자 여러분.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를 공동전선을 펼쳐 납치한 뒤 익히고, 알게 하여 번역을 하도록 합시다. 그럼 여러분이 원하는 가장 최선의 번역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런 상황은 불가능합니다. 납치는 인권을 침해하는 가장 나쁜 범죄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

그것은 번역을 하는 사람에게 남겨진 숙제입니다.

원 저자가 된 느낌으로, 그가 어떤 의도로 이런 글을 썼는가, 그가 왜 이렇게 글을 썼는가, 그리고 그라면 어떻게 이 언어로 이 문화를 지닌 사람에게 자신의 의도를 펼쳤을 것인가, 그것을 고민해야만 합니다. 그리고 그 고민을 담아서 자신이 새롭게 글을 써야만 합니다. 그렇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번역, 그것은 창작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번역과 그 방법의 원론에 대해서 두 번의 포스트에 걸쳐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론에 대해 반대의 방법론도 있습니다. 철저하게 창작의 측면을 배제하고, 순수한 기술 해석을 중심으로 하는 번역의 방법론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글을 읽는 사람에게 넘기는 것입니다. 번역을 하는 사람은 그 중계자 역할을 할 뿐, 최대한 창작의 영역을 넘지 않는 방법론입니다. 이것에 가장 가까운 것이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지는 번역일 것입니다. 그리고 이 방법론도 제가 생각하는 방법론과 반대되는 개념이지만, 번역의 하나의 방법으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저는 이 방법론은 고르지 않았습니다. 이런 기술 해석을 기본으로 하는 번역은, 제가 아니더라도, 또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소프트웨어는 그것에 가장 가깝게 가고 있습니다. 수년전의 번역용 소프트웨어와 현재의 번역용 소프트웨어는 그 능력이 다릅니다. 훨씬 강력해졌고, 점점 더 강력해질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기술 해석을 중심으로 하는 번역의 방법론은 소프트웨어에 맡기고, 원 저자의 의도를 바탕으로 새롭게 창작하는 방법론은 번역하는 사람이 맡자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