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이야기/일본어

일본어의 か는 ka인가?

일본어를 한국식 한자 발음으로 읽으면 문제가 해결되나?의 글에 또 '잘못 알고' 글을 쓰시는 분이 계시는군요. 현재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어두에 오는 か行 등은 ㄱ으로 쓰게 되어 있습니다. 이걸 가지고 무슨 국어 순화로 된 소리를 막기 위해서라는 등의 소리하는 사람 있는데, 왜 어중에 오는 건 그렇게 안쓸까요? 그건 일본어의 발음에 이유가 있습니다.

일본어에서 か(ka)는 로마자 표기를 할 때 ka로 하고 있습니다만 절대! Never! 絶対に! k 발음이 아닙니다. 로마자 표기일 뿐이죠. 이 발음의 음가가 아주아주 골때립니다. 자, 지금부터 각 발음에 있어 혀의 위치를 설명할테니, 잘~ 듣고 따라해보세요. 아마 따라하기 어려울 겁니다^^

[ka/카]
ka의 경우 가장 강한 파열음입니다. '카'와 거의 발음이 동일하므로 두 개를 나눠서 설명하지는 않도록 하죠. 혀는 말려서 안쪽으로 들어가며, 혀 끝은 혀 뿌리를 향하게 됩니다.

[까]
까 역시 강한 파열음입니다. ka/카와 동일합니다만 혀 뿌리가 치근, 즉 이빨 뿌리 쪽으로 조금 이동합니다.

[가]
자, 이제 가는 혀가 그렇게 말리지 않습니다. 혀 끝은 자연스러운 곡선을 그리면서 이빨 끝으로 갑니다. 까와 가의 차이점은 혀가 말리지 않고, 혀 끝이 이빨 뿌리에서 이빨 끝으로 간다는 게 큰 차이점입니다.

이 정도는 모두 아실런지요? 지금 이 블로그를 보시는 분들은 모~두 한국어를 할 줄 아실테니 이 정도는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궁금하시면 거울 앞에서 발음해 보세요. 자, 이제부터 か(ka)가 나갑니다.

[か]
이때 혀는 안쪽으로 말리면서 혀 끝은 이빨 뿌리나 이빨 끝이 아닌 입안의 가운데에 뜹니다! 이게 중요하죠. 한국어 하시는 분들이 이걸 아주 크게 틀립니다.

자 그럼, 카, 까, 가, か의 4개 발음의 혀 끝의 위치를 찍어본 모식도를 보도록 하죠.
자, 이렇게 됩니다. 눈이 멀쩡하다면 か가 어디에 더 가까운 음값을 갖는지 알 겁니다. 안 믿겨진다고요? 못 믿으면 말고요. 발음이 원래 그런데 나보고 어쩌라고요? 자 그런데, 왜 어두에서는 ㄱ에 가까운데, 어중에서는 ㅋ에 가까워지는가? 그것은 첫음절 다음에 이어지는 음절의 경우 앞 자음의 영향으로 혀의 위치가 살짝 바뀌기 때문입니다. 즉 ㄱ보다는 ㅋ에 가까워지죠. 그러므로 어중에서는 ㅋ로 쓰는 것입니다.
당연히 발음이 그런데 어쩌겠습니까? 음성학적으로 얼마나 따지셨는지 모르겠지만, 저런 음성학적인 판단으로 그렇게 한 것입니다. か가 ka와 비슷하고 が가 ga와 비슷하다고 알고 있다면 일본어 잘못 알아도 한참 잘못 알고 있습니다. 또한, 들어주신 앞의 긴카쿠지와 같은 거죠. 그게 card가 아니라 カード라는 일본어라는 걸 잘 모르시는 거 같습니다.
어허, 난감합니다. 일본에서 유학 중이세요? 그런데도 か와 ka를 구분하지 못 하고 が와 ga를 구분하지 못 한다니 낭패입니다. 일본 유학비가 무척이나 아깝습니다. 전 유학 안가고도 다 배웠습니다. 궁금하시면 대학 도서관에서 일본어 음성학에 대한 책을 빌려 보시길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말씀드렸지만 이미 음성학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제가 올린 글 보고 못 믿겠으면 음성학 책 읽어보세요. 자신의 부족한 일본어로 판단하지 마시고요.

그리고 더불어, 정치권의 영어 몰입 교육을 한글 학회가 나서야 한다고 하셨는데 이거야 원 황당하군요. 대체 똥은 개가 쌌으니 그 똥 치우라고 하는 격이죠. 그 똥은 싼 개한테 가서 치우라고 하세요. 이걸 보고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화풀이 한다고 하죠?
앞서 한 이야기와 같습니다.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학회가 정치에 대해서 얼마나 힘이 있으리라 생각합니까? 설마 집회나 시위라도 하길 바라시는? 님이 한번 해보세요, 이런 소리하기 전에.

끝으로 한마디. 유학 비용 아깝지 않게 공부 더 열심히 하시길 바랍니다!

아, 끝으로 위키페디아의 자료를 인용하셨는데, 잘못 인용하셨어요. 음운론이잖아요. 음운론음성학의 차이는 링크를 참조하시고 공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