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에서 か(ka)는 로마자 표기를 할 때 ka로 하고 있습니다만 절대! Never! 絶対に! k 발음이 아닙니다. 로마자 표기일 뿐이죠. 이 발음의 음가가 아주아주 골때립니다. 자, 지금부터 각 발음에 있어 혀의 위치를 설명할테니, 잘~ 듣고 따라해보세요. 아마 따라하기 어려울 겁니다^^
[ka/카]
ka의 경우 가장 강한 파열음입니다. '카'와 거의 발음이 동일하므로 두 개를 나눠서 설명하지는 않도록 하죠. 혀는 말려서 안쪽으로 들어가며, 혀 끝은 혀 뿌리를 향하게 됩니다.
[까]
까 역시 강한 파열음입니다. ka/카와 동일합니다만 혀 뿌리가 치근, 즉 이빨 뿌리 쪽으로 조금 이동합니다.
[가]
자, 이제 가는 혀가 그렇게 말리지 않습니다. 혀 끝은 자연스러운 곡선을 그리면서 이빨 끝으로 갑니다. 까와 가의 차이점은 혀가 말리지 않고, 혀 끝이 이빨 뿌리에서 이빨 끝으로 간다는 게 큰 차이점입니다.
이 정도는 모두 아실런지요? 지금 이 블로그를 보시는 분들은 모~두 한국어를 할 줄 아실테니 이 정도는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궁금하시면 거울 앞에서 발음해 보세요. 자, 이제부터 か(ka)가 나갑니다.
[か]
이때 혀는 안쪽으로 말리면서 혀 끝은 이빨 뿌리나 이빨 끝이 아닌 입안의 가운데에 뜹니다! 이게 중요하죠. 한국어 하시는 분들이 이걸 아주 크게 틀립니다.
자 그럼, 카, 까, 가, か의 4개 발음의 혀 끝의 위치를 찍어본 모식도를 보도록 하죠.




그리고 더불어, 정치권의 영어 몰입 교육을 한글 학회가 나서야 한다고 하셨는데 이거야 원 황당하군요. 대체 똥은 개가 쌌으니 그 똥 치우라고 하는 격이죠. 그 똥은 싼 개한테 가서 치우라고 하세요. 이걸 보고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화풀이 한다고 하죠?

끝으로 한마디. 유학 비용 아깝지 않게 공부 더 열심히 하시길 바랍니다!
아, 끝으로 위키페디아의 자료를 인용하셨는데, 잘못 인용하셨어요. 음운론이잖아요. 음운론과 음성학의 차이는 링크를 참조하시고 공부하세요.
'언어이야기 > 일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를 한국식 한자 발음으로 읽으면 문제가 해결되나? (30) | 2008.03.15 |
---|---|
Bejing을 Peking이라 부르는 건 대체 뭔가요? (12) | 2008.03.14 |
한국어의 한글로 일본어 표기하기 (13) | 2008.03.14 |
그렇다면 일본어에서 외래어 표기는? (2) | 2008.02.17 |
어떻게 불러야 좋을까요? (8) | 2008.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