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음원 가격이 2013년부터 곡당 66원에서 105원으로, 홀드백 제도에 의하여 보호되는 음원에 대하여서는 600원으로 가격이 인상되었습니다. 100곡 다운로드 기준으로 68%의 가격 인상, 개별 곡 기준으로 20%가 인상된 것입니다. 기존 가격이 워낙 저렴하였기 때문에 100곡 다운로드의 경우 68%가 인상되어도 105원 밖에 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한국의 음원 가격을 해외의 음원 가격과 비교하면 어떨까요.
2005/11/16 - 다운로드, 스트리밍의 수익 분배 구조
2007/12/27 - 제가 1년 전쯤 썼던 MP3의 수익 분배 구조
2007/12/31 - MP3 배급 사이트는 너무 많은 마진을 차지하는가?
2013/01/20 - 디지털 음원 가격 조정, 2013년부터 105원으로
한국 음원 가격 해외에 비하여 1/13 이하
각 국가의 음원 가격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국가의 아마존을 조사하였습니다. 캐나다의 경우 아마존에서 음원을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이트를 조사하였습니다. 환율은 2013년 1월 18일 기준 환율을 적용하였습니다.
국가 | 환율 | 곡당 가격 | 환산 가격 |
영국 | 1685 | £ 0.89 | ₩ 1,500 |
프랑스 | 1412 | € 1.19 | ₩ 1,680 |
독일 | 1412 | € 0.99 | ₩ 1,398 |
미국 | 1057 | $ 1.29 | ₩ 1,364 |
캐나다 | 1068 | $ 1.29 | ₩ 1,378 |
호주 | 1110 | $ 1.29 | ₩ 1,432 |
일본 | 1174 | ¥ 200 | ₩ 2,348 |
한국 | 100곡 단위 | 기존 | ₩ 66 |
개정 | ₩ 105 | ||
개별 | 기존 | \ 500 | |
개별 | \ 600 |
일본의 경우 가장 비쌉니다. 게다가 최근 엔화가 급락하였기 때문에 약 2,400원 가량이 된 것이지 얼마 전까지도 약 2,800원이었습니다. 이와 같이 일본의 경우에는 특별한 가격이며, 다른 국가는 모두 1,300~1,500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개별 가격 기준으로 한국보다 2~4배의 가격입니다.
문제는 한국의 경우 대부분 100곡으로 저렴하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제 가격은 13~22배 정도라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의 음원 가격, 너무 저렴하다
이와 같이 저렴한 음원 가격은, 아무리 분배 기준이 좋아져도 해결되지 않습니다. 미니 앨범(싱글)의 가격이 2~5곡으로 210원에서 525원, 정규 음반이 8~12곡으로 840~1260원이어서야 너무 저렴한 것입니다. 정규 음반 가격으로 비교하여 보면, 해외에서 1곡 살 돈이면 한국에서는 정규 음반 하나를 살 수 있는 가격이 됩니다. 음반 하나를 열심히 만들어 봤자, 해외에서 1곡 팔리는 것보다 돈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계획에 따르면 2013년 105원에서 시작하여, 매년 10% 씩 인상하여 2016년에는 150원으로 인상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150원이 된다고 해도 1/10 정도의 가격에 불과할 뿐입니다. 여전히 저렴한 한국의 음원 가격으로는 음악을 팔아서는 돈을 벌 수가 없습니다. 105원의 가격, 10만 다운로드를 달성하여도 천 만원, 100만 다운로드를 달성하여도 1억 원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와 같은 시장에서 음원의 다양성은 점점 없어지고, 음원을 주수익으로는 살아갈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음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원 가격 인상! MP3 가장 싼 곳은 어디일까? (13) | 2013.01.25 |
---|---|
음원 수익 분배 변경, 누구에게 가장 이득인가? (3) | 2013.01.22 |
음원 가격 105원으로 조정, 2016년에는 150원으로 (0) | 2013.01.20 |
Ryuichi Sakamoto Trio 투어를 보고 왔습니다 (0) | 2012.12.09 |
사카모토 류이치 트리오 공연! 무료 시청도 가능 (0) | 201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