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네트워크/마이크로소프트

타 통신사 출시 윈도우즈 모바일폰 사용법 첫번째

SKT, KT로 많은 윈도우즈 모바일폰이 출시되고 있습니다만, 이 윈도우즈 모바일폰이 WCDMA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이라면 타사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KT에서 출시된 스마트폰을 KT에서, 그리고 또한 그 반대도 가능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표준 통신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쓸 수 없는 것은 단 한가지. LMS와 MMS 뿐입니다. 그것은 한국의 통신사가 MMS를 표준 방식에서 벗어난 것을 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모든 것, 특히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중심으로 하는 모든 것을 할 수 있기에 그것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다만, SKT와 KT의 경우 설정값이 다르기 때문에 다음 부분을 직접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KT의 스마트폰을 SKT로 옮겨서 쓸 때는 그 반대로 해주면 됩니다.

  1. 타사간 USIM 잠금해제
  2. 무선 인터넷 연결 설정
  3. 이용 요금 설정
  4. 음성 메시지 번호 설정

우선 이 글에서는 타사간 USIM 잠금해제를 하는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타사간 USIM 잠금해제

우선 타사 USIM을 꼽아도 인식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제한을 풀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이 제한이 풀려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SKT, KT 역시 이것을 자의적으로 막고 있습니다.

SKT의 경우 T world에서 가입/변경 > 이동전화 가입/변경 > USIM 잠금 해제 > 타사간 USIM 잠금해제 메뉴를 찾아가면 되며, KT의 경우 SHOW 사이버고객센터에서 휴대폰관리 > USIM > 휴대폰 타사 이용 서비스 신청을 하면 됩니다. 이 과정을 거친 다음 타사 USIM을 꼽기만 하면 바로 연결이 됩니다.

단, 양쪽 모두 사이트에 가입되어 있어야만 신청할 수 있다는 큰 문제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참으로 아이러니입니다. 또한 KT의 경우 핸드폰에 가입된 상태에서만 신청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이 부분의 시정이 필요합니다.

양쪽 모두 방법은 비슷합니다. 신청 단말기를 선택하고 일련번호를 확인하여 입력하면 해제할 수 있습니다.

자,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타사간 USIM 잠금해제를 한 다음 USIM을 꼽고 시작하면 정상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처음 꼽고 켤 때에는 일반적으로 연결되는 것보다 조금 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5분 정도 걸렸던 것 같습니다. 그 다음 전화를 해봐서 정상적으로 잘 뜨는지 확인하면 끝. 이로써 타사로 이동해서 쓸 수 있습니다. 다만, 이것은 겨우 전화를 쓸 수 있을 뿐이지 달라진 것은 없습니다. 정말 중요한 무선 인터넷일 것입니다. 그것은 다음 편에서 이어집니다.

  1. 타사간 USIM 잠금해제
  2. 무선 인터넷 연결 설정
  3. 이용 요금 설정
  4. 음성 메시지 번호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