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유튜브의 제한적 본인확인제에 거부한 사실은 다들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2009/04/10 - 구글의 본인 확인제 거부 발표, 한국 사용자는 유튜브에 업로드 불가!?
2009/04/10 - 구글 부사장의 한마디 “다른 의견 표명이 사회의 건강성”
그런데 청와대는 유튜브에 홍보 채널을 갖고 있었습니다. 이거 못 올리는 거 아니냐고 걱정한 사람이 있나 본데 전 걱정 하나도 안 했습니다. 제발 전 세계에 떠들고 다니면서 나 바보라고 떠들지 말기만 바랄 뿐이지. 그런데 친절하게 트랙백으로 계속 올라온다고 알려주더군요.
뭐 내용을 정리하자면 이렇다는데 여기서도 거짓말이 난무합니다. 1번을 이야기한 적이 누가 있습니까? 저는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이러다 유튜브 차단 당하는 거 아냐?” 라고요. 아, 다르고 어, 다른 겁니다. 제대로 짚고 넘어갑니다. 그러므로 2번은 해당 안됩니다. 그런데 3번은 좀 궁금했습니다. 청와대가 국가 설정을 해외로 바꾸고 올릴 것인가…
청와대도 애용하는 유튜브
그에 대해서 청와대는 명쾌한 답을 내렸습니다.
즉, 한국인용이 아니라 해외 홍보가 목적이라 월드와이드로 설정이 되어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런 건 전 잘 모르겠고, 다른 계정이니까요. 원래 있었던 cdw라는 채널은 이제 쓰는 게 아닌가 봅니다.
도대체 뭘 하는 걸까 토 나올 각오를 하고 들어가 봤습니다.
이명박 찬양 채널?
기본적인 소개 동영상과 매주 라디오 연설이 올라와 있더군요. 구토가 쏟아지는 걸 참으면서 소개 동영상을 클릭했습니다. 소개 동영상은 거창하게도 An Icon of Global Korea, Creative Leadership. “세계적 한국의 상징, 창조적인 리더십”이랍니다. 제목을 보는 순간 위가 경련하는 것을 느꼈지만 참고 클릭하였습니다.
그리고 30초…
끝까지 못 보고 닫았습니다. 조선 중앙 동아 KBS 등을 이용해서 해오던 현대 출신의 사장이고 뛰어난 리더십으로 사업을 잘 이끌었고 어쩌고 저쩌고. 이명박을 소개하는 게 아니라 찬양하는 영상이더군요. 낯뜨겁고 부끄러워서 죽겠습니다. 이걸 전세계 사용자가 영어로 본다니.
얼마나 볼까?
4월에 오픈 해서 얼마 안된 채널입니다만, 도대체 얼마나 보았나 궁금해서 조회수를 보았습니다.
기본 소개 동영상이 조회수 901입니다. 메인 탑에 올라와 있는데 처참한 정도의 조회수로군요. 기본 재생되는 동영상이기 때문에 이 채널을 한번이라도 본 사람이 1,000명 꼴 되는 셈입니다.
전체 목록을 보니 더 처참하군요. 좀 많은 동영상이 300회이고 나머지는 100회 미만. 10회 미만도 많습니다. 물론 옛날에 한 라디오 연설입니다만.
부끄럽다! 부끄럽다!!
전 구글이 어떻게 대응할까 궁금했었습니다. 제한적 본인확인제는 이명박 정부 들어서 처음 시작된 것도 아니고, 한나라당이 저번 정부부터 철저하게 인터넷을 통제하기 위해 걸어온 족쇄였습니다. 그 때문에 다음 등을 비롯한 포탈부터 블로그까지 모두 제한적 본인확인제에 걸려있습니다. 제가 서버를 놓고 있는 티스토리 역시 마찬가지고요.
문제는 이겁니다. 그게 뭐가 문제인지도 모르고 밀어붙이는 정책. 구글은 뺨따귀를 때리며 “난 안 해!” 했는데 좋다고 전세계 사용자가 쓴다고 동영상을 올리는 작태.
부끄럽습니다. 제가 왜 부끄러워 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IT네트워크 > 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캘린더를 활용한 아웃룩 일정 동기화 (47) | 2009.04.13 |
---|---|
인터넷 실명제가 노무현 탓? 법안 내놓은 건 누구일까? (14) | 2009.04.12 |
구글 부사장의 한마디 “다른 의견 표명이 사회의 건강성” (8) | 2009.04.10 |
구글의 본인 확인제 거부 발표, 한국 사용자는 유튜브에 업로드 불가!? (2) | 2009.04.09 |
구글 크롬을 설치하면 실행되는 GoogleUpdate.exe 죽이기 (12) | 2009.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