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네트워크/다음

다음 툴바를 쓰면 다음 사용자인가요?

Namu(南無) 2008. 1. 31. 12:51
다음에서 어떻게 홈페이지 랭킹을 집계할까요??에서 이런 이야기를 보았습니다.
이와 같이 "다음을 주로 쓰는 사람의 통계'라고 보고 계신데요.
그리고 제 블로그에서 키엘님이 이런 덧글을 달아 주셨습니다. "게다가 다음 툴바니까 다음을 많이 사용하는 유저층 위주이고, 편중이 있는건 충분히 추측가능하겠죠."라고 이야기하셨네요. 그리고 "궁금한게, 저 점유율을 따른다면 상위 20개중에 적어도 6개는 네이버 블로그여야 비율이 맞지 않을까요?"라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그 전에 앞서 다음 툴바, 정확하게는 안철수 연구소의 빛자루 솔루션을 탑재한 Daum-빛자루 툴바가 무엇인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시다시피, 검색 툴바 + 빛자루입니다. 빛자루는 안철수 연구소에서 내놓은 개인용 무료 보안 솔루션이죠. 별다른 거 없습니다. 있다면 UCC 추천 기능 뿐이죠. 그외로 다음의 컨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만약 그런 것이 있다면, 이 툴바를 통한 통계는 믿을 수 없는 게 되죠. 물론 다음 UCC 세상의 +알파는 있겠습니다.

여기서 키엘님이 궁금해 하시는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죠.

다음을 주로 쓰는 사람의 통계인가?

이에 대해서는 인터넷 사용자 통계에 대한 자료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네이버가 가장 많은 페이지 뷰와 순 방문자 수를 기록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네이버를 가본 사람은 다음을 안간다던가, 다음을 간 사람은 네이버를 안간다던가 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합니다. 실제로 많은 사용자는 여러 포탈을 둘러보고, 그 중 좀 더 네이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번 다음의 다음 디렉토리 검색을 보도록 하죠.

  순위 주간 순방문자 인당 페이지뷰 인당 방문회수 인당체류시간(분) 비고
네이버 1위 26,231,975 202.22 9.74 211.89  
다음 2위 22,731,751 190.28 8.1 181.6  

네이버의 경우 1위 답게 주간 순방문자부터 시작해서 모든 부분에서 15% 이상 2위인 다음을 앞서고 있습니다. 특히 1인당 방문 회수에서 20%나 앞서고 있죠. 그에 비해서 1인당 페이지 뷰는 6% 내외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이 결과는 더 많은 사람이 네이버를 자주 찾고 더 오랜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2천 6백만명의 네이버 사용자 중 대다수는 다음을 찾고 2천 2백만 명의 다음 사용 자중 대다수도 네이버를 찾습니다. 여기에서 통계청의 정보화 실태 통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 사용가능 인터넷 이용가능 1주 1시간 이상 1달 1~3시간 인터넷 거의 안함 인터넷 이용 못함 컴퓨터 사용 못함 비고
2001년 58.7% 52.9% - - - 5.8% 41.3%  
2002년 63% 59.4% 50.1% 2.3% 7% 3.5% 37%  

이와 같이 6세 이상 인구 중 60% (2002년 기준) 가량만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면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 중 대다수는 네이버와 다음을 모두 쓰고 있다 할 수 있습니다. 즉, 다음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통계라 볼 수 없고, 보편적인 인터넷 사용자 통계라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저 점유율을 따른다면 상위 20개중에 적어도 6개는 네이버 블로그여야 비율이 맞지 않을까요?

이 질문은 매우 기초적인 통계에 대한 질문이라 뭐라 드릴 이야기가 없는 것 같습니다. 20개 밖에 안되는 모수에서는 크게 벗어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티스토리의 독립적인 특성상 블로그 부문 점유율이 12% 밖에 안되는데도 불구하고 5개나 랭크 인 한 것이 다음 계열(?)의 약진의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어디서 하는 것이니까 어디에 편파적이겠지? 하는 시선 무서운 거 같습니다. 여기에서 정보를 공개할 수는 없습니다만, 미디어채널에서 조사하고 있는 통계 역시 위와 별 차이 없습니다. 공개할 수 없는 이유는 대단한 비밀 정보라서 그러는 게 아니라 유료 회원에게만 판매되는 정보인지라, 이렇게 공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