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주제/모니터
LCD 모니터 구입과 크기의 선택은? 창간호
Namu(南無)
2006. 2. 9. 03:41
지금까지 Hard Disc 카테고리를 통해 하드 디스크를 1GB당 가격으로 계산하여 용량 대 가격비를 뽑아보는 포스트를 줄곧 올리고 있습니다. 그러다 순간, 그렇다면 LCD를 똑같은 관점으로 생각해본다면!?!?!
얼쑤 좋구나!
바로 이겁니다.
각 해상도별 픽셀 수를 따져보도록 하겠습니다.
20" 1600 x 1200 = 1,920,000 Pixel
23" 1920 x 1200 = 2,304,000 Pixel
30" 2560 x 1600 = 4,096,000 Pixel
1600 x 1200의 해상도도 픽셀수로 따지면 엄청납니다. 무려 백 구십 이만 픽셀입니다.
1920 x 1200의 해상도는 기대 이하입니다. 고작(?) 이백 삼십만 사천 픽셀입니다.
2560 x 1600의 해상도는 엄청납니다. 한마디로 언빌리버블! 사백 구만 육천 픽셀입니다.
20"에서 23"로 증가할 때 20%가 증가하고 있으며
23"에서 30"로 증가할 때 78%가 증가하고 있으며
20"에서 30"로 증가할 때 무려 213%가 증가합니다.
자 그렇다면, 우리는 1 픽셀에 얼마의 가격으로 구입하고 있을까요?
그 궁금증을 풀어봅시다.
왼쪽 최저가는 실제로 판매되고 있는 DIY 제품을 제외한 완성품의 가격을 뽑은 것입니다. 가격을 보면 어떤 회사 제품인지 알 수 있다면 이미 많은 관심을 갖고 계신 것이겠죠.
잘 살펴보면 20"와 23"는 20%의 증가밖에 없으나 1 픽셀당 가격이 0.2원/픽셀에서 0.3원/픽셀. LG나 삼성 제품은 2배 또는 그 이상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3" 또는 24"급은 픽셀 당 가격의 비례가 그리 좋지 않습니다. 그럼 23" or 24"와 30"를 볼까요? 생각했던 것보다 30"가 그 대비가 좋습니다. 최저가 가격에서는 고작 0.05원/픽셀 밖에 차이나지 않으며 애플, Dell에서도 10% 미만의 가격 차이가 됩니다. 원/픽셀을 따져보면요. 단순 계산으로 픽셀 당 가격만 따져보면 23" or 24"는 16:10의 Wide와 Full HD란 것을 빼면 그리 좋은 픽셀 대 가격비가 아닙니다. 그러나 30"는 20"에 비해 2배가 넘는 광활한 화면으로 우리를 손짓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픽셀 당 가격도 상대적으로 괜찮은 편입니다. 물론 그렇게 모아봤더니 150~300만원이라는 엄청난 가격이 되긴 합니다.
단, 여기에는 30" 급의 LCD를 쓰기 위해 Dual Link DVI-D가 필요하다는 것이 제외된 계산입니다. 그러나 요즘 ATi x1600 Pro의 경우 아주 착한 가격으로 시장에 풀리고 있고 그것이 Dual Link DVI-D를 제공하기 때문에 나쁘지 않습니다. 게다가 ATi x1800XT 또는 Geforce 7800GTX 급의 경우 Dual & Dual Link DVD-D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30"의 광활한 화면을 듀얼로. 게다가 SLI나 CrossFire 보드를 사용하면 30" 트리플, 아니 쿼드까지 쓸 수 있게 됩니다! 생각만 해도 행복하지 않습니까? 하지만 엄청난 가격의 압박이 찾아옵니다. 저 최저가로 보이는 150만원짜리 30"를 산다고 가정하고, 4장의 LCD와 2장의 VGA를 구입하면 벌써 덜컥 700만원을 넘습니다. 거기에 SLI 또는 CrossFire 보드 또는 VGA를 설치할 수 있는 PCI-E 슬롯이 두 개 달린 보드를 구입한다면 20만원. 뭐 앞서 말한 것들에 비하면 저렴합니다. 거기에 2장의 VGA를 위해서 500W의 PSU는 기본. 넉넉하게 600W 급 이상을 가면 여기서 역시 20만원. 뭐 또 저렴하군요. 앞에 이야기한 것에 비해서. 이렇게 4장의 LCD로 구성하는 것만으로 가볍게 800만원 대의 PC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덤으로 Doom3나 Quake4 등은 가볍게 돌아가는 시스템이 됩니다. 이것은 일석이조군요.
반쯤 꿈 같은 이야기이고, 나중에 이야기한 30" LCD 여러 장은 농담입니다. 그러나, 23" 또는 24"가 앞서 이야기한대로 16:10의 Wide란 것과 Full HD란 것을 제외하면 픽셀 당 가격비가 좋지 않다는 심대한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이런 픽셀 당 가격을 따져본 결과로 보면, Full HD와 16:10의 와이드 화면을 노리는 것이 아니라면 23" or 24" LCD를 한 장 사는 것보다는, 20" LCD 2장이 훨씬 낫다는 겁니다. 이것은 이 픽셀 당 가격비가 이야기하고 있으니까요.
이것은 2006년 2월 현재의 스코어이고, 앞으로 이것은 어떻게 바뀔지 모릅니다. LCD 모니터의 가격은 엄청난 속도로 폭락하고 있고 엄청난 속도로 대형화를 이루고 있으니까요. 이것이 창간호이긴 합니다만, 하드 디스크처럼 단기간에 변화를 보이지 않으므로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생각하고 있지도 않고 그럴 필요도 느끼진 않고 있습니다. 일종의 단기성 특집인 거죠.
그럼 마지막으로 세 줄 정리
1. 20" LCD - 저렴한 가격이 고해상도의 LCD를 구입하고 싶은 사람에게
2. 23" LCD - 난 풀 HD 와이드가 필요해!
3. 30" LCD - 그래 좋아 광활하게 사는 거야!
이상입니다.
얼쑤 좋구나!
바로 이겁니다.
각 해상도별 픽셀 수를 따져보도록 하겠습니다.
20" 1600 x 1200 = 1,920,000 Pixel
23" 1920 x 1200 = 2,304,000 Pixel
30" 2560 x 1600 = 4,096,000 Pixel
1600 x 1200의 해상도도 픽셀수로 따지면 엄청납니다. 무려 백 구십 이만 픽셀입니다.
1920 x 1200의 해상도는 기대 이하입니다. 고작(?) 이백 삼십만 사천 픽셀입니다.
2560 x 1600의 해상도는 엄청납니다. 한마디로 언빌리버블! 사백 구만 육천 픽셀입니다.

23"에서 30"로 증가할 때 78%가 증가하고 있으며
20"에서 30"로 증가할 때 무려 213%가 증가합니다.
자 그렇다면, 우리는 1 픽셀에 얼마의 가격으로 구입하고 있을까요?
그 궁금증을 풀어봅시다.

왼쪽 최저가는 실제로 판매되고 있는 DIY 제품을 제외한 완성품의 가격을 뽑은 것입니다. 가격을 보면 어떤 회사 제품인지 알 수 있다면 이미 많은 관심을 갖고 계신 것이겠죠.
잘 살펴보면 20"와 23"는 20%의 증가밖에 없으나 1 픽셀당 가격이 0.2원/픽셀에서 0.3원/픽셀. LG나 삼성 제품은 2배 또는 그 이상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3" 또는 24"급은 픽셀 당 가격의 비례가 그리 좋지 않습니다. 그럼 23" or 24"와 30"를 볼까요? 생각했던 것보다 30"가 그 대비가 좋습니다. 최저가 가격에서는 고작 0.05원/픽셀 밖에 차이나지 않으며 애플, Dell에서도 10% 미만의 가격 차이가 됩니다. 원/픽셀을 따져보면요. 단순 계산으로 픽셀 당 가격만 따져보면 23" or 24"는 16:10의 Wide와 Full HD란 것을 빼면 그리 좋은 픽셀 대 가격비가 아닙니다. 그러나 30"는 20"에 비해 2배가 넘는 광활한 화면으로 우리를 손짓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픽셀 당 가격도 상대적으로 괜찮은 편입니다. 물론 그렇게 모아봤더니 150~300만원이라는 엄청난 가격이 되긴 합니다.
단, 여기에는 30" 급의 LCD를 쓰기 위해 Dual Link DVI-D가 필요하다는 것이 제외된 계산입니다. 그러나 요즘 ATi x1600 Pro의 경우 아주 착한 가격으로 시장에 풀리고 있고 그것이 Dual Link DVI-D를 제공하기 때문에 나쁘지 않습니다. 게다가 ATi x1800XT 또는 Geforce 7800GTX 급의 경우 Dual & Dual Link DVD-D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30"의 광활한 화면을 듀얼로. 게다가 SLI나 CrossFire 보드를 사용하면 30" 트리플, 아니 쿼드까지 쓸 수 있게 됩니다! 생각만 해도 행복하지 않습니까? 하지만 엄청난 가격의 압박이 찾아옵니다. 저 최저가로 보이는 150만원짜리 30"를 산다고 가정하고, 4장의 LCD와 2장의 VGA를 구입하면 벌써 덜컥 700만원을 넘습니다. 거기에 SLI 또는 CrossFire 보드 또는 VGA를 설치할 수 있는 PCI-E 슬롯이 두 개 달린 보드를 구입한다면 20만원. 뭐 앞서 말한 것들에 비하면 저렴합니다. 거기에 2장의 VGA를 위해서 500W의 PSU는 기본. 넉넉하게 600W 급 이상을 가면 여기서 역시 20만원. 뭐 또 저렴하군요. 앞에 이야기한 것에 비해서. 이렇게 4장의 LCD로 구성하는 것만으로 가볍게 800만원 대의 PC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덤으로 Doom3나 Quake4 등은 가볍게 돌아가는 시스템이 됩니다. 이것은 일석이조군요.
반쯤 꿈 같은 이야기이고, 나중에 이야기한 30" LCD 여러 장은 농담입니다. 그러나, 23" 또는 24"가 앞서 이야기한대로 16:10의 Wide란 것과 Full HD란 것을 제외하면 픽셀 당 가격비가 좋지 않다는 심대한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이런 픽셀 당 가격을 따져본 결과로 보면, Full HD와 16:10의 와이드 화면을 노리는 것이 아니라면 23" or 24" LCD를 한 장 사는 것보다는, 20" LCD 2장이 훨씬 낫다는 겁니다. 이것은 이 픽셀 당 가격비가 이야기하고 있으니까요.
이것은 2006년 2월 현재의 스코어이고, 앞으로 이것은 어떻게 바뀔지 모릅니다. LCD 모니터의 가격은 엄청난 속도로 폭락하고 있고 엄청난 속도로 대형화를 이루고 있으니까요. 이것이 창간호이긴 합니다만, 하드 디스크처럼 단기간에 변화를 보이지 않으므로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생각하고 있지도 않고 그럴 필요도 느끼진 않고 있습니다. 일종의 단기성 특집인 거죠.
그럼 마지막으로 세 줄 정리
1. 20" LCD - 저렴한 가격이 고해상도의 LCD를 구입하고 싶은 사람에게
2. 23" LCD - 난 풀 HD 와이드가 필요해!
3. 30" LCD - 그래 좋아 광활하게 사는 거야!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