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네트워크/모바일

USIM을 통한 휴대폰 선택의 자유를 즐긴다

Namu(南無) 2010. 1. 3. 08:02

예전에는 자신이 쓰는 핸드폰을 바꾸려면 직접 고객센터를 찾아가거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기기 변경 신청을 해야만 다른 핸드폰을 쓸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동통신이 3G 시대로 들어가고, USIM 사용이 본격화되면서 이야기가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핸드폰에서 USIM을 뽑아 다른 핸드폰에 꼽기만 해도 기계를 바꿀 수 있습니다. 즉,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가 핸드폰에 남는 것이 아니라 USIM에 남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심지어는 SKT에서 나온 핸드폰을 KT에서, 또는 반대도 가능합니다. 단, 3G를 도입한 KT, SKT에서만 이와 같은 USIM의 이용이 가능하며 LGT의 경우는 아쉽지만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기능을 열어놓지 않고 막아놓은 채로 놔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의 휴대폰 보호를 위한 명분입니다만, 이 모든 것을 직접 신청해야만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USIM만 꼽으면 옮길 수 있는데 말입니다. 자사간, 타사간 USIM 잠금이란 이름으로 USIM을 통한 자유로운 이동전화기 선택의 자유를 막아놓은 것이 문제입니다.

같은 이동통신사 휴대폰에서 USIM의 자유 사용

우선 자사간 USIM 잠금을 풀어야 합니다. 이걸 풀어야 KT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람은 KT에서 출시된 USIM 사용 가능한 휴대폰에 USIM을 꼽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KT의 경우 SHOW 사이버 고객센터에서 휴대폰 관리 > USIM > 휴대폰 보호서비스 설정 메뉴를 찾아갑니다.

마찬가지로 SKT의 경우 T world에서 가입/변경 > 이동전화 가입/변경 > USIM 잠금해제 > 자사간 USIM 잠금 해제를 찾아갑니다.

그 다음에는 안내에 따라서 인증번호를 발급 받고 해제하면 간단히 풀립니다. 그리고 나서 다른 USIM을 꼽고 휴대폰을 켜서 제대로 통화가 가능하면 잠금이 해제된 것입니다. 친구 휴대폰에 꼽힌 USIM을 잠깐 뽑아서 테스트해보시면 됩니다.

단, 개통한지 얼마 안된 휴대폰일 경우 이 잠금 해제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각 이동 통신사의 정책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고객센터에 물어보셔야 할 거 같습니다.

다른 이동 통신사에서 출시된 휴대폰도 쓸 수 있다

예전 같은 경우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만, 이제는 SKT에서 출시된 휴대폰을 KT에서 쓰고 KT에서 출시된 휴대폰을 SKT에서 쓸 수 있습니다. 단, 이렇게 사용 가능한 핸드폰은 2008년 7월 1일 이후에 출시된 핸드폰입니다.

KT의 경우 SHOW 사이버 고객센터에서 휴대폰 관리 > USIM > 휴대폰 타사 이용 서비스 신청 메뉴를 찾아갑니다.

마찬가지로 SKT의 경우 T world에서 가입/변경 > 이동전화 가입/변경 > USIM 잠금해제 > 타사간 USIM 잠금 해제를 찾아갑니다.

단, 이처럼 타사간의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쓸 수 있는 기능은 딱 두 가지입니다. 전화와 문자. 그 외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쓸 수 없게 됩니다. 이 점은 SKT, KT 모두 공식 지원하지 않고 있으며 양사 모두 표준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다릅니다. 어차피 스마트폰의 경우 이동통신사의 서비스에 종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굳이 문제가 있다면 MMS의 송수신 정도인데 그 정도 안 쓰면 그만 아니겠습니까?

2010/01/02 - 타 통신사 출시 윈도우즈 모바일폰 사용법 첫번째
2010/01/02 - 타 통신사 출시 윈도우즈 모바일폰 사용법 두번째
2010/01/02 - 타 통신사 출시 윈도우즈 모바일폰 사용법 세번째
2010/01/02 - 타 통신사 출시 윈도우즈 모바일폰 사용법 네번째

스마트폰, 그 중에서 윈도우즈 모바일폰을 타 통신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린 바가 있습니다. 이것을 통해 타 통신사로 출시된 탐나는 스마트폰을 마음껏 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