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네트워크/마이크로소프트

타 통신사 출시 윈도우즈 모바일폰 사용법 네번째

Namu(南無) 2010. 1. 2. 12:20

자, 이용 요금까지 가입했겠다, 이제 다 끝났습니다. 다만, 요즘은 사용 빈도가 줄어든 것입니다만, 음성 메시지 번호 설정이 남았습니다. 이것은 SKT가 *89를 음성 메시지 확인 번호로 쓰고 있고 KT가 *88을 그 확인 번호로 쓰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입니다. 같으면 될 것을 왜 다른 번호를 쓰는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음성 메시지 확인 번호가 달라서 음성 메시지 확인 기능을 실행해도 다른 번호가 뜨는 문제가 있습니다.

물론 직접 *88 또는 *89를 누른 뒤 통화를 눌러도 됩니다만, 이것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있기에 그 방법을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1. 타사간 USIM 잠금해제
  2. 무선 인터넷 연결 설정
  3. 이용 요금 설정
  4. 음성 메시지 번호 설정

바꿀 수 있는 방법은 꽤 간단하니 쭉 따라 하시면 됩니다.

음성 메시지 번호 설정

우선 레지스트리를 직접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따로 설치해야 합니다. Resco Explorer, Total Commande/CE에서도 레지스트리 편집을 제공합니다만, 유료 프로그램입니다. 무료로 설치해서 쓸 수 있는 PHM Registry Editor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PHM Registry Editor 내려받기

PHM Registry Editor는 위 링크를 통해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제작사 홈페이지를 링크하고 싶은데 열리지가 않아 다른 링크를 안내해 드립니다.

내려받은 PHM Registry Editor를 설치한 다음 실행합니다. 그 다음 레지스트리에서 \HKCU\Software\Microsoft\Vmail 을 찾아갑니다.

그 다음 PhoneNumber1 값을 바꾸어 줍니다. SKT라면 *89로, KT라면 *88로 변경하면 됩니다. 값을 바꾼 다음 리셋하면 끝. 간단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 말고 시작 > 설정에서 변경하는 방법이 있습니다만, 이것이 막혀 있는 스마트폰이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이 레지스트리를 통하는 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다음에 시간이 될 때 이것을 설치 파일로 만들어서 등록하는 것을 공개할까 합니다.

  1. 타사간 USIM 잠금해제
  2. 무선 인터넷 연결 설정
  3. 이용 요금 설정
  4. 음성 메시지 번호 설정

이로써 타 통신사 출시 윈도우즈 모바일폰 사용법을 네 개의 글에 걸쳐 소개해 드렸습니다.

SKT로 출시된 엑스페리아 x1을 KT에서 써보니

이전까지 KT에서 출시된 기가바이트 P100을 쓰다가 세면대에서 빠뜨려 제대로 쓸 수 없게 된 다음 대안을 찾아서 바로 구입한 것이 소니 에릭슨 엑스페리아 x1입니다.

분명 표준 통신인 WCDMA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이기 때문에 KT에서도 모든 기능을 정상적으로 쓸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타사 출시 폰이라는 이유로 지원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정상적인 요금제 가입조차 막아놓은 상태입니다.

이것은 KT뿐 아니라 SKT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빠른 해결이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통신사에 종속된 스마트폰이 아닌 언제 어디서든 어떤 통신사를 통해서도 쓸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야 타사 통신사 이용에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